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농심
- 내슈빌핫치킨
- 바쁘다바빠현대사회
- 소름돋는 타게팅
- 아이패드스토리챌린지
- 스푼코리아
- 간호동아리
- 민초가 세상을 구한다
- 광고일기
- 광희나는치킨
- 노담
- 우체국에금보험
- 떡볶퀸
- 일상의감칠맛
- 쇠미라
- 밀카
- 아트립
- 삼성
- 광고모음집
- 담배는노답
- 떡볶이마스터즈
- 다무신사랑해
- 신라면블랙두부김치
- 이게진짜일기
- 내 물건이 너의 집에 남아있다면 헤어진게 아니다
- 큰맘순대국
- LG
- 알러지엔
- 하렘의남자들
- 흥미원
- Today
- Total
T자형인재가 될거야 TT
15. 역대급 호불호 갈리는 공익광고 본문
공익 광고계 민초 논쟁 중인 광고,
청소년을 타겟으로한 금연광고다.
이 광고의 킥은 컨셉이다.
그리고 이 콘셉트가 호불호 나뉘게 하는 요인이다.
이 광고의 컨셉은 흡연하지 않은, 노담... 인 청소년들아 프라이드를 느껴라!
뭐 이런 컨셉이다.
#담배는 노답
#우리는 노담
이런 라임 맞춘 귀여운 카피를 쓰기도 한다.
청소년이 더 이상 아니어버려서... 흑흑 아쉽다ㅜㅜ아줌마 일기 잘 쓰지...
청소년의 입장에서 이 공익 광고가 어떻게 느껴지는지는 댓글로 알 뿐이다.
쭉 훑어보니 이번 광고는 대체로 좋은 평을 받고 있다.
생각보다 담배 구하기가 쉽고 아무렇지 않게 피는 추새인가 보다.
담배 안 피우면 찐따, 범생이 이미지가 씌워지나 보다.
그래서 광고 캠페인으로 비흡연자인 게 당당하고 더 멋진 일이라고 소구 하는 것 같다.
사실 이번 광고는 이 캠페인에서 가장 호평받고 있다.
아래는 불호가 더 많은 지난 캠페인이다.
오래된 건 아니도 한 3~4개월 전에 첫 번째 금연 캠페인 공익 광고다.
지난 광고에서 피드백을 수렴하여
이번 광고에서 개연성을 조금 더 끌어오며 완성도와 설득력을 높인 것 같다.
같은 콘셉트, 메시지라도 그 안에 논리를 어떻게 전달하냐에 따라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데에 극명한 차이를 만든다.
이 콘셉트가 여전히 불호인 사람들은 청소년들이 흡연을 하지 않는 게 당연한 것인데,
이 광고는 마치 흡연하는 것이 디폴트이고 안 피는 게 남들과 다르고 당당함을 느껴야 하는 것이라는
메시지가 어불성설이며 오히려 흡연하는 청소년들에게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이라는 의견이다.
반면 이 콘셉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청소년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메시지라
현실적이고 신선하다는 입장이다.
나의 입장은 처음에는 불호의 입장이었는데
이번에 올라온 광고를 보며
약간 호로 바뀌었다. (역시 사람들 눈 비슷비슷)
근데 나의 입장이 중요하다기보단
이걸 보는 청소년들이 입장이 더 중요하긴 하다. ㅎㅎ
유튜브에 광고를 게시한 것은 적절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청소년들이 TV를 안 보고 거의 디지털 세상에서 논다는 것을 모두가 알 것이다.
그래서 유튜브에 광고를 게시한 것은 옳은 선택이다.
또 TV에서는 담배가 나오면 모자이크를 한다.
가끔은 저게 효과가 있나 싶지만 그런 모자이크 된 영상을 보다가
유튜브에서 모자이크 없는 흡연 영상을 보면 느낌이 다르다.
영 실속 없는 짓은 아닌 것 같다.
유튜브는 그러나 흡연 장면을 제약 없이 그대로 보여준다.
흡연 방법, 담배 구매 방법, 담배 후기 등에
쉽게 노출되거나 직접 찾아볼 수 있다.
생각해보면 이는 심각한 문제다.
흡연이 아무렇지 않아 질수록 청소년들이 담배에 쉽게 손을 뻗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나도 노담^^
'광고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수지 손민수들 모여라~♥(1/1000000) (0) | 2020.10.05 |
---|---|
16. 만인이 원하는 D-DAY 통치 약 (0) | 2020.10.05 |
14. 괜찮아? 굉..괜찮아!! (0) | 2020.10.05 |
13. 사이버 대학에 다니며 사이버로 대학 광고 하는 걸 보는 중입니다. (0) | 2020.10.05 |
12. 한 번 잘 만든 캐릭터는 쓰임새가 많다. (0) | 202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