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자형인재가 될거야 TT

광고 같지 않은 광고, 애드버토리얼 (Advertorial) 정체와 구분 방법 본문

광고 이론

광고 같지 않은 광고, 애드버토리얼 (Advertorial) 정체와 구분 방법

T자형인재 2020. 9. 27. 16:39

애드버토리얼 (Advertorial)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와 에디토리얼(editorial)을 합성한 합성어입니다.

 

애드버토리얼이란 기사광고라고도 하는데, 기사 사이에서 같은 형태를 띠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광고입니다.

 

광고는 이미지 광고, 옹호 광고, 저널리즘 광고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이미지 향상을 위한 이미지 광고는 광고주가 소비자들이 상품이나 서비스, 브랜드 자체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만들어집니다.

둘째, 옹호 광고는 논란이 되는 주제에 대한 광고주 측의 견해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집니다.

셋째, 저널리즘 광고는 언론의 관심을 끌기 위해 제작됩니다. 그들의 목표는 독자적으로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쓴 이야기를 영감을 주고, 관련 이야기에 인용하거나, 기자들이 미래에 어떤 주제에 대해 어떻게 글을 쓸지에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잡지나 신문에 게제된 에드버토리얼 광고 예시

에드버토리얼, 이 새로운 광고는 보통 객관적인 기사를 닮도록 쓰입니다.표면적으로는 독립적인 뉴스 기사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어조에서 차이가 드러납니다. 언론에 쓰이는 기사성 광고의 어조는 객관적인 뉴스 기사보다 보도자료의 어조에 가깝습니다.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광고를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설계된 결과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신문을 보며 피드를 내릴 때, 어떤 것이 광고이고 어떤 것이 기사인지 구별하기 힘듭니다. 

온라인에서 이러한 광고를 많이 접한 세대들은 비교적 쉽게 광고임을 인지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광고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는 광고로 구별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따라서 에드버토리얼을 잘 알고 신문 기사의 형태라도 그 안의 정보를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지나치게 상품을 앞세우거나, 단일 브랜드 노출이 과다한 기사는 눈여겨보고 비판적으로 평가할 줄 알아야 합니다. 전문가가 종종 등장하여 기사의 신뢰도를 높이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비단 전문가의 의견이라도 스스로 정보를 찾아보는 등의 추가적인 노력을 들여야 합니다. 지나친 신뢰는 좋지 않습니다.

 

오프라인으로 발행되는 신문이나 잡지 등에 게재된 에드버토리얼은 전체 신문 섹션으로 제시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언론은 자신들이 발행하고 있는 신문이나 잡지의 이야기와 꼭 닮은 광고에 거부감 있습니다. 그래서 "광고"라는 단어 자체에 거부감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 결과 광고라는 용어 대신 "특별한 홍보 기능" 또는 "특별한 광고 섹션"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신문 내에 가게 전단, 만화 섹션 및 기타 콘텐츠와 동일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습니다. 이 섹션들은 보통 다른 기사들과는 다른 레이아웃으로 쓰입니다. 또한 실제 종이와 다른 작은 형태의 넓은 시트에 인쇄됩니다. 이렇게 광고 면에 게시된 광고는 비교적 구분하기 쉽습니다.

 

신문 기사나 잡지 특집 형식의 에드버토리얼은 누가 쓰는 것일까요?

많은 신문과 잡지는 직원이나 프리랜서들에게 광고를 쓰도록 합니다. 보도자료는 PR대행사나 광고대행사에서 초안을 작성해 기자에게 보내면 부탁을 받은 기자가 그대로 혹은 약간의 수정을 통해 광고성 기사를 게재합니다. 관련 관행은 기업이 제품을 마케팅하기 위해 만든 자료를 신문이나 잡지의 오리지널 콘텐츠처럼 보이기 위한 것입니다. 한 가지 친숙한 예는 항공사의 기내 잡지입니다. 기내 잡지에는 항공사가 운항하는 여행지에 대한 보고서를 특집으로 다루며 그 관광지를 광고하곤 합니다.

 

 

잡지에 게제된 VISA 에드버토리얼 광고

 

정리

  • 애드버토리얼 광고는 출판물에 등장하는 기사처럼 보이도록 고안되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광고와 다름.
  • 신문 기사 형태라고 해서 맹신해서는 안되고, 광고와 기사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함.
  • + 네이티브 광고 (Native Advertisement)와는 거의 비슷하지만, 네이티브 광고는 광고임을 사전에 인지시킨다는 점에서 애드버토리얼 광고와 다름.

 

반응형
Comments